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세금4

부린이를 위한 투자상식 : 정부 규제 대응방법 부동산에서 정말 다양한 규제들이 있다. 보통 하락장에서는 세금, 대출에 대해 완화하고 상승장에는 규제를 통해서 가격을 조정시키려 한다. 상승장이냐 하락장이냐에 따라 방향성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규제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 대출규제, 거래규제, 가격규제, 세금규제이다. 대출 규제는 IMF이후 손쉽게 규제하는데 보통 LTV40% 정도로 규제를 한다. 그외에도 분양권 거래를 규제하거나 각종 규제를 통해 가격을 조정한다. 대출규제는 부동산 시장에 있어서 정말 크다.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것이 대출인데, 이를 규제하게 되면 자금이 어려워 현금흐름에 문제가 생기고, 경기악화로 이어지기 까지 한다. 건설사의 수익악화로 인해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들수 있다. 대출규제를 잘 판단하고 내가 얼만큼의 집을 살수 있.. 2022. 11. 3.
1주택자, 무주택자는 세금 무서워할 필요가 없다.(양도세편) 지금까지 매수와 보유했을 때의 세금을 알아보았다. 이제 우리가 원하는 수익이 나서 매도할 때를 생각해보자. 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은 급여를 받을 때 소득세를 땐다. 부동산 양도세율 역시 소득세율과 동일하다고 보면된다. 양도세 계산법은 : 과세표준X양도세율이다. 여기서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과세 표준이다. 양도세에서 누진공제액 만큼은 감액 받고, 다주택자는 양도세율을 더 중과하는 식으로 양도세를 통제한다. 정부에서 규제를 할 때는 보유를 1년 미만으로 하게 될때 양도세율을 40% 하기도 한다. 장기보유공제는 오래 보유했을 때 물가상승률 만큼을 보전해준다는 것인데, 최대 10년까지 보유하고 거주를 8년이상 했다면 최상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필요경비를 청구하여 부동산 거래간 발생되는 필수비용은 인정받.. 2022. 10. 31.
부동산 투자 초보자들은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걱정하지마라 부동산투자를 시작도 안해본 사람이 종부세(종합부동산세) 재산세를 걱정하는 사람이 있다. (나도 그렇다.) 세금에 대해 아는것도 없고 첫 투자다 보니 잘못해서 세금을 왕창 많이 낼까봐 막연한 두려움이 가득하다. 결론만 미리 말하자면, 무주택자 1주택자는 종부세 재산세를 걱정해서 내집마련을 미루지 말아야한다. 걱정할 필요도 없다. 기본적인 상식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된다. 먼저 재산세는 소유권에 대한 기준을 언제로 잡냐면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그 집을 누가 가지고 있었느냐에 따라 1년치 세금을 내게 되어있다. 만약 5월 31일에 내가 집을 샀다면 재산세는 내가 내는 것이고, 6월 2일에 샀다면 이전 집주인이 세금을 내게 된다. 그럼 재산세를 누가 내느냐를 기준으로 협상을 매물에 대한 협상을 할때 활용하면.. 2022. 10. 30.
부동산 초보들을 위한 세금지식 '취득세' 이것만 알면 된다. 부동산 세금 정말 말만 해도 머리가 아프다. 쉽고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오늘은 부동산 공부를 하면서 피해갈 수 없는 세금과 수수료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먼저 알아볼것은 세금인데 세금은 크게 3가지 종류로 볼수 있다. 1. 매수(집을 샀다.) : 취득세 2. 보유(집을 가지고 있다.) :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3. 매도(집을 팔았다.) : 양도소득세 여기서 우리가 초보라면 보통 1주택자이거나 무주택자인데, 세금 폭탄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할일이 없다. 보통 다주택자들에 대한 규제가 많기 때문이다. 1번의 집을 샀을 때 내는 취득세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오피스텔은 4.6%로 세금이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6억 이하는 1% 6억~9억까지 1.33~2.6% 9억이상은.. 2022. 10. 29.